|
![]() |
제1부 분단구조 형성과 유일 통치기반 구축
chapter 1 북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01 북한의 존재의미
02 북한사회를 이해하는 접근법
chapter 2 한반도 분단구조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01 분단구조 형성의 역사적 기원
02 남북한 정권기관 수립
03 6.25 전쟁과 분단 고착
chapter 3 통치 이데올로기와 권력구조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01 주체사상의 형성과 본질
02 김정일 체제의 통치 이데올로기
03 북한 권력구조의 헤게모니
제2부 김정은 체제의 핵심역량 운영
chapter 4 김정은 체제의 통치기반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
01 김정은의 성장환경과 후계자 부상
02 3대 세습체제 형성과 추대세력
03 새로운 통치체제 기반 구축
chapter 5 김정은 체제는 대외관계를 어떻게 유지하는가?
01 경제적 실리 위주의 대외정책
02 난국 극복을 위한 대외관계
chapter 6 북한군의 역할과 최근 위협은 무엇인가?
01 인민군의 창설과 위상
02 군사정책과 군사전략
03 인민군의 조직 및 제도
04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05 최근 북한군의 변화와 위협
chapter 7 북한 경제의 현실과 전망은 어떠한가?
01 북한의 경제정책
02 북한 경제의 실상
03 김정은 체제의 경제전망
제3부 주민생활과 변화 전망
chapter8 북한의 제도권 교육은 어떻게 시행되는가?
01 북한의 교육정책과 제도
02 과정별 교육진행
03 학생지도와 교원생활
chapter 9 북한의 문화예술은 무엇을 추구하는가?
01 문화예술정책 및 주진기관
02 북한문화예술의 실태
03 기타 문화부분
chapter10 주민생활의 통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01 북한의 사회정책과 계층구조
02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생활실상
03 주민 인권과 사회통제
chapter11 북한, 어디로 갈 것인가?
01 김정은 집권 초기의 허와 실
02 김정은 체제, 어떻게 변할 것인가?
03 우리의 대응 자세
?
부록
01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02 조선노동당규약
03 2014년 북한 주요행사 예정표